코테 대비 python
-
거스름 돈코테 대비 python/백준 2022. 2. 18. 12:58
#손님에게 거슬러 줘야 할 돈이 N원일 때 거슬러 주야할 동전의 최소 갯수 구하기 # 동전의 최소 갯수 # 500원, 100원, 50원, 10원 # N = int(input()) #큰 수 먼저 change = [500,100,50,10] count = 0 for i in change: count+=N//i N=N%i print(count) ======================================== n= 1260 count = 0 coin_types = [500,100,50,10] for coin in coin_types: count+=n//coin n%=coin print(count) 얻은것 1. 리스트 생각하기 2. 나머지 표현 체화
-
두 배열의 원소 교체코테 대비 python/백준 2022. 2. 16. 13:34
출처: 이코테 #N, K 입력받고 map으로 int 화 N,K = map(int , input().split()) #a, b 수열 입력받기 a = list(map(int, input().split())) b = list(map(int, input().split())) # a오름차순 정렬 하고, b 내림차순 정렬 a= sorted(a) b= sorted(b,reverse=True) # 만약 a에서 가장작은 원소가 b에서 가장큰 원소보다 작다면 바꾸고 아니면 멈춤 for i in range(K): if a[i]
-
성적이 낮은 순서로 학생 출력하기코테 대비 python/백준 2022. 2. 16. 12:23
출처: 이코테 # 학생의 정보는 이름, 성적으로 구분 # 성적이 낮은 순서대로 = 내림차순으로 이름 출력 N= int(input()) #딕셔너리 생성 dict = {} #딕셔너리에 쌍추가 for i in range(N): k, v = input().split() v =int(v) dict[k] = v #딕셔너리 튜플 리스트로 바꾸기 a = dict.items() a a = sorted(a, key = lambda x:x[1],reverse=True) #출력 for i in a: print(i[0], end=" ") ====================================== #정수 입력 n= int(input()) #리스트 생성 array = [] #리스트에 append for i in rang..
-
미로 탈출코테 대비 python/백준 2022. 2. 15. 17:03
출처: 이코테 머리가 아프다 너무 어렵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m = map(int,input().split()) graph = [] for i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input()))) #방향벡터 설정 dx = [-1,1,0,0] dy = [0,0,-1,1] def bfs(x,y): queue = deque() queue.append((x,y)) while queue: x, y = queue.popleft() for i in range(4): nx = x+dx[i] ny = y+dy[i] if nx=m: continue if graph[nx][ny] ==1: graph[nx][ny] = graph[x][y]+1 queue..
-
음료수 얼려먹기코테 대비 python/백준 2022. 2. 15. 10:06
출처: 이코테 DFS 문제인데 어렵다.. 30분지나서 답지 참고함; 언제나 보고나면 쉬운것을.. ㅋㅋ n,m = map(int,input().split()) graph = [] for i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input()))) def dfs(x,y): if x =n or y=m: return False if graph[x][y] ==0: graph[x][y]=1 dfs(x-1,y) dfs(x,y-1) dfs(x+1,y) dfs(x,y+1) return True return False result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dfs(i,j)==True: result +=1 print(result)
-
시간 세기코테 대비 python/백준 2022. 2. 14. 13:03
출처: 이코테 처음 발상은 구간 별로 나눠서 시간을 세고자 했으나 복잡할 것으로 생각을 바꿈 ( #초 계산 3,13,23,30-39,43,53 =>총 15, #분 계산 동일 15 ) 그래서 첨부터 그냥 세는 것으로 발상 전환함 n=int(input()) count = 0 for i in range(n+1): for j in range(60): for k in range(60): if "3" in str(i)+str(j)+str(k): count+=1 print(co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