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백준_1149코테 대비 python/백준 2022. 2. 23. 21:07
#백준_1149 #최솟값 구하기 이코테 개미집 문제와 동일 수준 n=int(input()) d=[] for i in range(n): d.append(list(map(int, input().split()))) #d[1]= min(a[1][0],a[1][1],a[1][2]) 오른쪽값이 정수라서 에러뜸 for i in range(1,n): d[i][0] = min(d[i-1][1],d[i-1][2])+d[i][0] d[i][1] = min(d[i-1][0],d[i-1][2])+d[i][1] d[i][2] = min(d[i-1][0],d[i-1][1])+d[i][2] print(min(d[n-1])) 이코테 개미집이랑 유형똑같았는데 한번더 꼬니깐 오래걸렸다.... 얻은것 1. 많이 푸는게 장땡이구나.. 많이 ..
-
백준_9095코테 대비 python/백준 2022. 2. 23. 19:55
많이 풀어보질 않다보니 런타임 에러가 날경우 대처하는 법이 미흡하다 #백준_9095 #방법의 수 구하기 이코테 바닥문제와 동일 무지성 풀이 시작 # T= int(input()) d=[0]*1001 for j in range(T): n = int(input()) d[1] =1 d[2] =2 d[3] =4 for i in range(4, n+1): d[i] = d[i-1]+d[i-2]+d[i-3] print(d[n]) 얻은것 1. 런타임에러 => 리스트 생성한거 먼저보기 2. 점화식 생각 간단히 하기
-
백준_1463코테 대비 python/백준 2022. 2. 23. 19:35
https://www.acmicpc.net/problem/1463 1463번: 1로 만들기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106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 1로만들기 n= int(input()) #a = min(a(n-1),a(n-2)+1) d=[0]*(n+1) for i in range(2, n+1 ): d[i] = d[i-1]+1 if d[i]%3==0: d[i] =min(d[i],d[i//3]+1) if d[i]%2==0: d[i] =min(d[i],d[i//2]+1) print(d[n]) 런타임 오류 떠서 당황?! 리스트 길이 조절 하여 해결 얻은것 1. DP문제 유형 파악 2. 점화식 생각 3. 이코테 복습
-
표현 공부코테 대비 python/백준 2022. 2. 22. 18:49
이코테에서 이진탐색 공부를 하다가 신선한 발상?! 나만몰랐던 발상?! 알게됨 ㅋㅋ #계수 정렬 n = int(input()) array = [0]*1000001 for i in input().split(): array[int(i)]=1 m = int(input()) x= list(map(int,input().split())) for i in x: if array[i]==1: print('yes',end=" ") else: print('no',end = " ")
-
이진 탐색Base Line/알고리즘 2022. 2. 22. 15:23
출처 : 이코테 순차탐색이란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하나씩 차례대로 확인하는 방법 def sequential_search(n,target,array): for i in range(n): if array[i]== target: return i + 1 print("생성할 원소 개수를 입력한 다음 한 칸 띄고 찾을 문자열을 입력하세요.") input_data = input().split() n = int(input_data[0]) target = input_data[1] array = input().split() print(sequential_search(n,target,array)) 이진 탐색 반으로 쪼개면서 탐색하기 변수 3개 사용 시작점, 끝점, 중간점 찾으려는 ..
-
NumpyBase Line/python 기초 코드 2022. 2. 21. 15:07
Numpy(Numerical python) np.array 함수를 사용하여 배열 생성 리스트와는 다르게 하나의 데이터 type만 배열에 사용가능 => dynamic typing not supported 리스트는 객체들의 레퍼런스의 모임이지만 배열은 한개의 객체임 import numpy as np a=np.array([1,2,3,4],float) print(a) #astype()메써드로 바꾸기가능 b=a.astype(np.int16) print(b.dtype) [1. 2. 3. 4.] int16 shape 넘파이 배열 차원의 구성을 반환함 // 차원의 길이를 의미 dtype 넘파이 배열 데이터 타입 반환 ndim (number of dimension) 몇차원인지 의미 size 원소개수 import nump..
-
[FACSIMILE_3D human body reconstruction from single image] 리뷰논문 리뷰/오늘의 논문 2022. 2. 19. 18:52
FACSIMILE: Fast and Accurate Scans From an Image in Less Than a Second 2019년도 ICCV에 발표된 논문이다. 근래의 체형 추론 방법들은 디테일이 떨어지고, 많은 이미지가 필요하다. 그렇기에 우리는 FAX(FACSIMILE)를 제안한다. 이것은 한장의 사진으로 부터 신체의 디테일을 추론하는 방법론이고, 이로인해 사람을 가상에서 재현하는 것에 대해 문턱을 낮춘다. 역설적이게도, FAX의 메인 loss는 normal에 대한 픽셀당 로스이다, 깊이의 픽셀당 로스가 아니다. 이것은 깊이 감독(supervision) 없이도 신체의 기하학적 디테일을 만들게하기 가능하게 만든다. 우리는 우리의 접근방법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기존 SOTA모델과 비교하였..